모바일 영업이익 2억원... 풋

직원 데려다가 뭐하냐? 일도 안하고 삽질하나보네. 대기업의 최고 문제는 보고체계가 너무 복잡해서 변화에 둔감하다는 거지. 다른 분야는 모르겠으나 IT분야는 변화에 둔감하면 다 죽는거다. 소니, 파라소닉 엄청잘나가다 지금 사람들 이름도 거론안한다. 왜 그럴까? 변화에 둔감해서 다 죽은거라는 거다. 지금 LG전자가 그꼴이다. 영업이익 2억원... 난 회계 장부 조작해서 겨우 흑자로 맞춰놓은거라고 생각한다. 


뭐가 어쨌든, 주가로 본다면... 지금 외인은 그냥 실적이 안좋으니 던지는거고, 기관은 주식으로 장난치는걸로 보인다. 주식에서 돈이 깡패다. 돈많은 놈이 내려가야한다고 하면 내리는거고, 올라가야 한다고 하면 올라가는거다. 다른 이윤 다 갔다붙이 명목일뿐이고...


지금은 기관이 아직도 내려가야 할때라고 생각하나 보다. 당분간 관망하시고, 일단 여름휴가를 잘 즐기시길...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거래소  (0) 2018.01.01
미국의 금리 인상과 중국증시  (0) 2015.09.08
LG전자 그 두번째 이야기.  (0) 2015.07.29
LG전자  (0) 2015.07.28
한국가스공사  (0) 2015.04.08
by Invincible Cooler 2015. 7. 30. 10:43

(CNN)An American man is being sought in connection with a case that has drawn international attention -- the killing of Cecil the lion -- Zimbabwean officials said Tuesday.

CNN보도 :

화요일 짐바브웨이 공식보도에 의하면, 국제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Cecil이라고 불리는 사자를 죽인 사건과 연관된 미국인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The man suspected in Cecil's death is Walter James Palmer of Eden Prairie, Minnesota, according to Johnny Rodrigues, head of the Zimbabwe Conservation Task Force.

짐바브웨이 보호당국의 수장인 Johnny Rodrigues에 따르면 Cecil의 죽음과 관련된 용의자는 미네소타주 Eden Prairie에 사는 Walter James Palmer 이다.

Cecil, who was 13, was a prized lion in Zimbabwe's Hwange National Park, where visitors reportedly sighted him frequently. A video of the animal, regal, indifferent and sleepy-eyed, has been widely disseminated.

13살인 세실은 사람들이 자주 그를 보기위해 찾는 짐바브웨이의 황에국립공원에서 상징(상품??)적인 존재이다. 동물의 제왕이면서, 무관심하고 졸린눈을 가진 사자의 비디오는 전세계적으로 퍼져있다.

He was a participant in a study that Oxford University in Britain was conducting, and he had been outfitted with a GPS collar.

그는 영국의 옥스포드 대학에서 행해지고 있는 연구대상이였다. 그리고 GPS고리를 차고 있었다.

A police official in Zimbabwe said that two Zimbabweans had been arrested in the case and that police were looking for Palmer.


An alleged $50,000 payment

The Zimbabweans, Honest Trymore Ndlovu and Theo Bronchorst, were due in court Wednesday, according to a statement from the Zimbabwe Parks and Wildlife Management Authority andSafari Operators Association of Zimbabwe. Bronchorst is a professional hunter, the statement said.

Rodrigues said Palmer was an American and gave his passport number and street address, but police were more vague. Charity Charamba, a Zimbabwe police spokeswoman, said police were seeking Palmer, "who might be an American or a Spaniard."

The allegation is that the lion was killed illegally, Charamba said.

In a statement Tuesday, Palmer said he hired professional guides who secured proper permits.

"To my knowledge, everything about this trip was legal and properly handled and conducted," he said in the statement.

"I had no idea that the lion I took was a known, local favorite, was collared and part of a study until the end of the hunt. I relied on the expertise of my local professional guides to ensure a legal hunt."

He said no authorities in Zimbabwe or the United States had contacted him but he would assist them in any inquiries.

The hunter concluded: "Again, I deeply regret that my pursuit of an activity I love and practice responsibly and legally resulted in the taking of this lion."


Rodrigues said that Palmer "apparently paid $50,000 for the kill and we assume Theo Bronchorst received this money."

The incident may not be the first time Palmer has run afoul of the law while hunting.

A man by the same name and age, and from the same town, illegally killed a black bear in Wisconsin several years ago, according to court documents. That individual pleaded guilty to making a false statement

He knowingly made false statements to the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and was sentenced to one year on probation and ordered to pay a fine of nearly $3,000, records show.

Attempts to contact Palmer's lawyer Tuesday about the 2006 case were unsuccessful. Jon Austin, a spokesman for Palmer, said he is aware of reports on the bear case, but had no information.

Wounded, then tracked for another 40 hours

Cecil's death was cruel, in Rodrigues' account.

On July 6, Rodrigues said, Bronchorst took Palmer to Hwange National Park.

"They went hunting at night with a spotlight, and they spotted Cecil," Rodrigues said. "They tied a dead animal to their vehicle to lure Cecil out of the park, and they scented an area about half a kilometer from the park," or about 550 yards.

Rodrigues said Palmer shot Cecil with an arrow but failed to kill him. Then the two men tracked Cecil, finding him about 40 hours later and shooting him to death with a gun, Rodrigues said.

They discovered that he had been fitted with a GPS collar and tried to destroy it, Rodrigues said.

Cecil was skinned and beheaded, Rodrigues said. Contrary to earlier reports, he said, the head has not been found.

"The saddest part of all is that, now that Cecil is dead, the next lion in the hierarchy, Jericho will most likely kill all Cecil's cubs so that he can insert his own bloodline into the females," Rodrigues said. "This is standard procedure for lions."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하자  (0) 2015.09.07
Korean Air chief’s daughter faces ministry investigation - Korea Herald  (0) 2014.12.12
by Invincible Cooler 2015. 7. 29. 11:47

일단 전 차트는 신봉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어쨌든 차트는 후행성이라고 생각해서죠. 하지만 그래도 개미가 믿을건 차트 밖에 없기에... 어쩔수 없이 보긴 보는거죠. 단 예측은 엄청 위험한게 맞고요.

금일 차트를 보면 일봉상 5일성을 밟고 일어나고, 20일선에서 맞고 떨어집니다. 단타의 고수면 20일선 상향돌파했을때, 팔고 나오는게 무조건 맞습니다. 주가의 미래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but 초보라면 20일선 상향 돌파하고 매수를 했겠죠... 그럼 당분간(그게 며칠이 될지, 몇달이 될지는 모르지만)은 물리게 되는거죠. Howerver, 주봉상차트를 보면 양상이 달라집니다. 물론 금일장 끝나지도 않았는데, 이런 분석은 의미 없지만, 그래도 한번 해보는 거죠. 주봉상 차트는 지금 5일선 뚫고 올라왔네요. 윗꼬리는 진짜 윗꼬리일수도 있고, 속임수 윗꼬리 일수도 있습니다. 보통 정배열에서 날아가는 차트면, 속임수 윗꼬리가 맞지만, 이놈은 하방에서 다시 돌리려는 건지, 아니면 다시 땅꿀팔지는 아무도 모르잖아요. 그러면 거래량을 봐야겠죠. 지난주 엄청난 거래량을 과시하며, 엄청난 윗꼬릴 달았네요. 일단 보기는 좋지 않습니다. 이래나 저래나 차트만 보면 LG전자 주가 병신되기 일보직전입니다. 하루 변동폭은 현재 큰 의미는 없는것 같습니다. 엄청나게 물린 주주에게는요. 

제 생각엔 LG전자가 가려면, 주포인 기관이 돌아와 줘야 합니다. 하지만, 전 ELW는 잘 모릅니다. 모든 주가는 ELW와 맞물려서 돌아가는 걸로 압니다. 그래서 더 내리기 위한 상승인건지, 상승의 시작인건지도 모릅니다. 어쨌든 만약 상방으로 올라가면 55천 이상은 올라갈 확률 5%도 안되니, 너무 장투만 고집하지 마시고, 당분간은 단타로 아니면 5만 넘어가면 매도를 하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물론 5만 올라간다는건 상방으로 돌린다는 가정하에서 입니다.


- 주식초보가-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금리 인상과 중국증시  (0) 2015.09.08
LG전자 그 세번째...  (0) 2015.07.30
LG전자  (0) 2015.07.28
한국가스공사  (0) 2015.04.08
락앤락.  (0) 2015.03.06
by Invincible Cooler 2015. 7. 29. 10:54

LG전자

항상 그래 왔듯이, LG전자는 주식시장의 가장큰 핫이슈이다.

왜냐면 차트를 보면 알겠지만, 아무생각없이 주구장창 떨어지기만 했다. 이렇다할 반등한번 없이. 기관이 정말 무지막지하게 버린 주식이니 말이다. 그런데 요 며칠 주가가 출렁이고 있다. 외인이 구글이 LG전자를 인수할 것이란 짜라시로, 완전 한탕해먹고, 다 도망갔다. 그때 새로 매입한 사람만 완전 새된거지. 그런데 갑작스럽게 기관의 입질이 시작됐다. 왜지??? 뭐가 있나??? 일단 현재는 아무것도 없다. LG전자는 지금까지 지켜본봐, 기관의 입질이 중요하다. 외인이야 어짜피 먹튀 인생이니 최소한 LG전자 이놈에겐 의미가 없는 매수 주체이다. 기관의 입질이 시작됐으니, 며칠더 지켜보고, 한번 매수해 봐야겠다.


모바일은 지금은 거의 포화상태이기 때문에 G4든 갤6든 많이 팔릴수가 없는 구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찌라시를 날려서 밑으로 쳐박아 버리는 것은 대체 무엇을 얻기 위해서인가... 시간이 정답을 주겠지.


어쨌든 저쨌든 환율이 오르고 있다. 그럼 수출주도형 주식은 어쨌든 간다고 보면 될것이다. 단 5만까지만 보자.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전자 그 세번째...  (0) 2015.07.30
LG전자 그 두번째 이야기.  (0) 2015.07.29
한국가스공사  (0) 2015.04.08
락앤락.  (0) 2015.03.06
NHN엔터테인먼트  (0) 2015.01.05
by Invincible Cooler 2015. 7. 28. 12:18

오랜만의 포스팅 입니다.

안드로이드를 개발하다 보면, WeakReference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WeakReference를 왜 언제 사용해야 하느냐를 구글링을 해보면, 많은 이유가 나옵니다. 하지만 초보가 이해하기 복잡합니다. 그냥 간단히 말하면... Thread-safe하게 내가 사용하고 있는 변수를 가비지 컬렉션할수 있게 하고싶어서 사용한다 입니다. 다시 쉽게 말하면 예를 들어서 핸들러 or AsynTask로 동작하는 작업이 있다고 하면 (예를들어 리스트에서 이미지 로딩같은 것) 백키를 누르거나 다른 버튼을 눌러, 다른 화면으로 이동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이미지의 로딩은 프로세스가 아닌, 쓰레드에서 처리를 하고 있는 것이죠. 다시 말하면, 바로 종료가 안되다는 것입니다. 이때가 WeakReference를 사용하는 최적화 타이밍 입니다. 그래서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로더들이 WeakReference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물론 핸들러에서 사용하는것도 권장합니다. 왜냐면 핸들러도 프로세스가 종료되더라도, 바로 종료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이유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핸들러를 아래와 같이 abstract로 선언하고 사용한다면, Thread-Safe 한 핸들러를 사용할수 있을것 같네요.


public abstract class ThreadSafeHandler<T> extends Handler {


private WeakReference<T> mReference;


public ThreadSafeHandler(T reference) {

mReference = new WeakReference<T>(reference);

}


@Override

public void handleMessage(Message msg) {

T reference = null;


if (mReference != null) {

reference = mReference.get();

}

else {

reference = null;

}


if (reference == null) {

return;

}


handleMessage(reference, msg);

}


protected abstract void handleMessage(T reference, Message msg);


}

이런식으로 추상핸들러를 작성해서, 사용하면 될것 같네요~~~ 필요한 메소드는 알아서 더 추가해 주면 될것 같고요...


그럼 즐프~~~

by Invincible Cooler 2015. 7. 28. 05:38

개콘에서 경비아저씨로 출연해서, 그까이껏 대충이라는 유행어를 남기고, 코빅에서 옹달샘으로 출연해 우리에게 웃음을 주는 장동민. 고 말하면서 확실히 대중에 자리매김한 장동민.


요즘 그가 엄청난 구설수에 휘말리고 있다. 무한도전에 식스맨으로 나와서 전설의 주먹을 선보였을때까진 좋았는데, 정말 무한 도전은 독배였던가... 갑자기 나락으로 추락하고 있다. 욕하고, 남을 비하해서 웃기는 건, 개그의 한가지 코드이고, 그 만의 장점이지만, 이것의 문제는 대한민국 시민이, 그걸 재밌어는 하지만, 몇가지 주제에 대해서는 굉장히 예민하다는 의식이 있다는 것을 간과한거 아닐까... 아래 몇가지는 절대로 개그로 승화시키면 안되는것이다. 나비효과에 의해서 완전히 내가 날아갈 수 있는거지.

첫번째, 일본관련 정치적인 문제(독도, 위안부 등)를 들수 있다. 이건 아무리 한국이 현대화 되었더라도, 절대로 일본을 옹호하면 안된다. 물론 옹호할 건덕지도 없지만.

두번째, 세월호와 같은 사고 문제. 솔직히 이번 삼풍사고 문제를 개그로 승화한건 잘못한 일이다. 다른사람에겐 재밌을수 있으나, 사고를 직접 당하고, 목격한 사람은 평생 트라우마가 되어 죽을때까지 그 기억이 괴롭힐 테니까. 이건 겪어 보지 않은 사람은 절대 왈가왈부할 일이 아니다.

세번째, 군대얘기. 이것도 마찬가지. 군대 안가본 남자나, 여자들이 입방아에 올릴 얘기가 아니다. 왜냐고? 그냥 병사로 가보면 안다. 직업으로 간부로 간사람은 제외하자.


어쨌든 요즘 장동민이 굉장히 이슈가 되고 있지만, 이건 정치적 물타기일 확률도 굉장히 높은것이다. 성완종 리스트가 이슈가 되야 하는데, 외부적으로는 네팔지진, 내부적으로는 장동민 이슈로 성완종 사건이 시민 머리에서 날아가고 있다. 솔직히 네팔지진은 정말 안타까운 자연재해지만, 정치인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최고의 기회로 생각하고 있겠지. 장동민은 불쌍하게도, 정치적 희생양으로 제물이 되었고. 


결론은 장동민 잘못은 했지만, 이런거에 휘둘리는 대한민국 시민의식 정말 안타깝다. 장동민이 말실수한게 중요한지, 성완종리스트에서 돈받고, 부패정치하는게 중요한지 제발좀 깨닫자.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 어플 악플 분석...  (0) 2015.09.21
곧 말복...  (0) 2015.08.08
황금락카 두통썼네... 정체 누굴까???  (0) 2015.04.24
이명박과 2800억 비리  (0) 2015.03.24
난방텐트  (0) 2014.12.04
by Invincible Cooler 2015. 4. 28. 08:03

이정도 하는 사람이면, 진주 밖에 없다. 


목소리도 예전 진주 목소리와 비슷하고. 


맞는것 같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 어플 악플 분석...  (0) 2015.09.21
곧 말복...  (0) 2015.08.08
장동민... 정치적인 물타기 인가? 아니면 잘못인가?  (0) 2015.04.28
이명박과 2800억 비리  (0) 2015.03.24
난방텐트  (0) 2014.12.04
by Invincible Cooler 2015. 4. 24. 11:05

오늘은 핸들러를 통해서 핸들러를 취소하는 루틴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보통 핸들러 사용은 Handler를 생성한후 postDelayed 를 사용하여 UI 업데이트나 시간 delay처리를 한다. 그런데 이렇게 postDelayed를 사용하여 실행된 Runnable 객체를 removeCallbacks를 통해서 제거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


removeCallbacks는 pending된 객체만을 제거하는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미 실행되고 있는 Runnable 객체는 최종 끝마치게 된다. 헐~~~ 그러면


이미 실행되고 있는 놈도 날려 버리고 싶다면???


Handler를 통해서 postDelayed를 사용하는 대신 sendMessageDelayed를 사용하고, removeMessages를 통해서 객체를 제거해 보자. API에는 메시지 큐에 있는 pending 객체를 제거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sendMessageDelayed를 통해서 실행되는 놈은 Runnable이 아니여도 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날아가는 효과를 누릴수 있다.

코딩으로 보여주면

mHandler.postDelayed xxxxxxxx

mHandler.removeCallbacks xxxxxxxx

이렇게 호출하면 xxxxxx(Runnable객체) 이놈이 실행되지만

mHandler.removeMessages(xxxx);

mHandler.sendMessageDelayed(msg, 500);

뭐 이런식으로 실행하면 잘된다. ㅋㅋㅋㅋㅋ


그럼 즐프...



by Invincible Cooler 2015. 4. 17. 16:06

이번엔 한국가스공사에 대해서 살짝...


락앤락을 처음매수한 후로 약 6개월 한달에 3만원씩 약2~3주를 매수했다. 그리고 드디어 12950원에 매도. 약 13%정도의 이익(약 5만원)을 남기고 락앤락과는 빠이빠이했다. 그리고 들어간 곳이 한국가스공사. 지금 이명박 자원외교에 걸려서 정치적으로 얻어터지고 있다. 회사와 상관없이 정치적으로 얻어터지는 기업은 언젠간 다시 정상가치로 돌아오기 때문에 ㅋㅋㅋ


이놈도 약 5만원정도의 이익을 보면 매도하고 나갈것이다. 왜 이렇게 주식을 조금씩하는지 궁금하다고요? 이건 제 계좌가 아니라, 우리 아들과 딸의 계좌입니다. 언젠간 동일고무벨트나 DRB동일 쪽으로 묻어놓을겁니다. 매년 10%무상증자와 함께, 50원정도의 현금배당을 하는 아주 좋은 주식이거든요.


어쨌든 지금은 DRB동일보단 한국가스공사가 더욱 매력적인것 같아서요...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전자 그 두번째 이야기.  (0) 2015.07.29
LG전자  (0) 2015.07.28
락앤락.  (0) 2015.03.06
NHN엔터테인먼트  (0) 2015.01.05
NHN엔터테인먼트  (0) 2014.12.11
by Invincible Cooler 2015. 4. 8. 16:16

이명박 자원외교로 2800억 비리. 설마 2800억이겠어? 언론에 얼마나 줄여서 나왔겠냐.

ㅋㅋ 근데 왜 네이버 실검에 안뜨냐? 수지하고 이민호가 갑자기 열얘를 하고, 류수영, 박하선도 5개월 됐고, 비는 갑자기 왜 김태희와 제주도 가냐? 근데 그게왜 네이버를 통해서 나오지? 다 이유가 있는거지.


한국사를 열심히 공부하다보면, 정치인이 물타기의 고수란걸 알수 있게 되는거야. 광해군 대동법, 중립외교해서 대신들 입장이 난처해지니, 영창대군 죽이고, 인목대비 폐위한 폐륜가지고 들먹여서, 광해군 쫓아버리잖아. 한국사 제대로 모르는 사람이면 진짜 광해군 이 나쁜새끼하겠지만, 이게다 정치적 보복인거거든 ㅋㅋㅋ


여러분도 정신차리자. 갑자기 연예인 열애설이 터지거나, 도박설등 큰게 터지면 뒤에는 정치인의 구린 뒷모습이 있는거야. 너무 뻔한데 말려들지 말길... 말려드는 사람은 스스로 나 바보다 인정하는거거든.


ㅋㅋ 어쨌든 네이버도 믿을수가 없구나. 어떤 기사를 봐야하나... 네이버도 정치인들이 장악한것 같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 어플 악플 분석...  (0) 2015.09.21
곧 말복...  (0) 2015.08.08
장동민... 정치적인 물타기 인가? 아니면 잘못인가?  (0) 2015.04.28
황금락카 두통썼네... 정체 누굴까???  (0) 2015.04.24
난방텐트  (0) 2014.12.04
by Invincible Cooler 2015. 3. 24. 06:58
| 1 2 3 4 5 6 7 |